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
부산의 성곽, 동래읍성 부산의 성곽, 동래읍성 임진왜란 이후 부산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동래진의 능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7년에 걸친 임진왜란이 끝나고 평화가 찾아왔지만 전쟁터가 되었던 조선의 상황은 참혹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 정부는 일본과 가장 가까운 부산의 군사적 중요성을 통감하고 부산의 경비 태세를 강화하였습니다. 효종 6년(1655)에는 경상 좌병영 관하의 경주 진관 예하의 제진이었던 동래 진을 독립시켜 양산군과 기장 현 소속의 군사까지 통합하여 지휘할 수 있게 승격시켰습니다. 숙종 16년에는 동래부사 이형상의 요청으로 직품이 감사나 병사와 대등한 종 2품의 방어사를 두어 부사의 겸무로 하였다가 영조 15년에는 부사가 동래 수성장을 겸해 독진의 군사권을 가지고 행정사무를 처리하게 하였습니다...
부산의 성곽, 금정산성과 구포 왜성 부산의 성곽, 금정산성과 구포 왜성 우선 배경을 살펴보면 금정산성은 숙종 29년(1703) 경상 감사 조태동이 동래 지역의 방비가 허술함을 지적하고 금정산에 성을 쌓도록 요청하고 허가를 받으면서 축성 공사가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동래부사 박태 항이 축성 공사를 주관하였는데 둘레 9,011자, 높이는 15자에 이르는 거대한 규모였습니다. 하지만 조태동이 공사를 마치기도 전에 이임되면서 완공을 보지 못하고 방치되고 말았습니다. 숙종 17년에 당시 동래부사였던 한배하가 미완성이던 금정산성을 남, 북 두 구역으로 나누는 중성을 쌓고 장대 , 중군 소, 군기고 등의 시설을 보강하였지만 방대한 규모 탓에 산성 곳곳이 무너지며 다시 방치되고 말았습니다. 지금 그림은 여지도에 그려진 금정산성의 모습입니다. 금정산의 능..
부산에 설치된 부곡과 향 부산에 설치된 부곡과 향 현의 하부조직인 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고려시대 군, 현의 하부조직은 촌이었습니다. 혈연관계로 만들어진 자연촌이 모여 지역촌을 이루었고 지역촌은 군과 현을 지탱하는 지지기반이 되었습니다. 일반 양민들의 거주지, 자연촌과 지역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자연촌과 지역촌 고려시대 동래현과 동평현에는 자연촌이 존재했습니다. 이러한 촌은 일반 양민들의 거주지였지만 현재 고려시대 촌락에 대한 상세한 사료는 전해지지 않습니다. 대단히 안타까운 일입니다만 지금 사실 촌에 대한 기록은 우리나라에 있는 게 아니고 일본 나라에 정창원 문서에서 일본의 동대사의 창고인 정창원에서 자료가 발견이 됐는데 이 자료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의 촌에 대한 기록이 나옵니다. 자연촌이 있고 또 행정촌이 있고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