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국방경비체제와 부산
조선의 국방경비체제와 부산
조선 전기의 관방 체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조선 전기는 고려의 지방제도와 군사제도를 거의 그대로 유지했으나 왕권이 안정되면서 과감한 군사제도의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삼포개항으로 일본과의 교류가 늘어나며 부산은 기존의 동래현에서 동래 도호부로 승격되어 해안방어의 중심지로 부상했습니다. 우선 조선 전기 관방체제에 대해 알아보고 군사편제의 변화과정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선 초기 관방체제의 변화와 부산
조선 초기 관방체제의 변화와 부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선 전기의 군제는 고려의 제도를 그대로 이어받아 전국을 경기좌도, 경기우도, 양광도, 서해도, 교주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로 나누고 각 도를 군사 행정과 전투를 수행하는 단위로 삼아 여기에 군사를 전담하는 병마도절제사를 파견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태조 6년(1397)에 도(道) 단위의 군사체제는 폐지되고 각 도의 요해처에 2~4개의 진을 설치하였는데 첨절제사가 파견되던 다른 진과 달리 동래에는 병마사가 파견되어 군사권과 행정권을 모두 갖게 하였는데 이는 부산이 갖는 국방상의 중요성을 반증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세조 시기의 관방체제 변화와 부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세조 원년(1455)에 지방 군제를 개편하여 종래 해안지방에만 두었던 진을 내륙에도 치하도록 했는데 이는 변진 방어가 실패할 시 내륙 방어가 불가능했기 때문입니다. 당시 편제 내용은 각 도에 여러 개의 거진을 두고 이웃에 있는 군, 현을 중익, 좌익, 우익으로 삼았습니다. 경상도에는 경주도, 상주도, 성주도, 진주도, 안동도, 대구도의 6개도와, 동래진, 영해진, 천진, 남해진, 영일진, 웅천진, 거제 진의 7 개진을 설치하였습니다. 이것은 고려 말에 군입도 제도를 북쪽 지방에 형성했는데 조선으로 오면서 전 국토를 바로 군사 편제를 바꾼 겁니다. 그러니까 국토의 도시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진관 체제의 완성과 부산
주진 아래 몇 개의 거진을 두고 거진의 첨절제사가 군사거점지역을 관장하는 체제입니다. 다만 문관 출신 관찰사나 수령의 역량이 부족했고 소속된 병사는 농민으로 전투력이 떨어졌습니다. 또한 군포로 군역을 대신하며 진관 체제는 점차 유명무실해졌습니다. 진관 체제의 완성과 부산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세조 12년(1466)에 다시 지방관제의 개혁과 함께 군사제도 역시 개편되었습니다. 전국을 진관으로 편성하고 모든 수성이 군직을 겸임하는 진관제가 실시되었습니다. 진관제의 실시로 각 도에는 병마절도사가 파견되어 육군을 통솔하였는데 병마절도사가 머무는 곳을 주진이 불렀고 휘 하의 절제사, 첨절제사가 머무는 곳을 거진이라 불렀습니다. 거진 아래에는 다시 여러 개의 제진을 두었습니다. 명종 2년(1547)에 동래 현이 도호부로 승격하면서 동래부사가 동 첨절제사의 직책을 맡아 동래 일원의 병사를 거느렸습니다. 이 사진은 망미루 동래 도호 아문 편액입니다. 1547년 동래 현이 동래 도호부로 승격하면서 부산은 대일 외교의 전반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수군체제와 부산
조선시대 수군체제와 부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잦은 왜구의 침략을 받아왔던 조선으로서는 육군만큼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수군이었습니다. 특히 부산은 일본과 가장 가까운 항구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경상좌도 수군 병력의 절반가량이 부산에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조선의 수군은 이미 고려 말, 왜구의 잦은 침략으로 조선술과 전술이 발전하고 수군 시설과 제도가 성장하여 높은 수준의 군사력을 보유한 상태였습니다. 태조 3년(1394)에는 각 도에 수군 첨절제사를 배치하였고 태종 때에는 수군 도절제사를 두고 연해의 요해처에는 각 만호, 천호 등의 군관을 두어 방어에 임하게 하였습니다. 세종 2년(1420)에는 병마도절제사에게 수군의 군무를 맡게 하였으며 이듬해에는 수군 도안 무 처치사를 두어 각지의 수군을 통솔케 하였습니다. 특히 동래현에는 부산포에 위치한 좌도수군도안무처치사의 본영과 해운포, 다대포의 만호 영이 있었으며 총병력은 병선 49척, 수군 3,091으로 이는 경상좌도 수군 전체 병력의 약 40%에 달했습니다. 이처럼 경상좌도 수군 본영과 2개의 만호 영이 부산 지역에 배치된 것은 삼포 개항 이후 부산포에 정박하는 일본 선박과 일본인들의 숫자가 커지면서 혹시 발생할 지모를 불상사를 막기 위함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경상도를 좌도, 우도로 나눈 것은 바로 낙동강을 경계로 좌도는 동래지역이 되는 것이고 우도는 김해지역이 되는 것입니다. 본래 조선시대에는 전국 팔도에다가 각 도에 병영 2개, 수영 2개를 분리가 원칙이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수영만 두는 곳도 있고 병영만 두는 곳도 있는데 특히 경상도에는 병영도 두고 수영도 2개로 두는 곳입니다. 그만큼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진관 체제의 완성과 부산의 수군
진관 체제의 완성과 부산의 수군입니다. 세조 12년(1466)에 진관 체제가 완비되면서 수군 도안 무 처치사가 수군절도사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부산포에 있던 좌도수군절도사영은 울산의 개운포로 옮겨가게 됩니다. 대신 부산포에는 부산포 진관이 설치되고 휘하에 총 10개의 만호 영이 설치되었는데 동래 현관 내에는 부산포진과 해운 포영, 다대포 영이 위치했습니다. 해운포영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없어졌고 다대포 영은 첨절제사 영으로 승격되었습니다. 울산 개운포로 옮겨갔던 경상좌도 수군 절도 사영(경상좌수영)은 1592년 즈음, 동래 남촌(현재의 수영구 수영동)으로 옮겨왔는데 얼마 후 임진왜란이 일어나게 됩니다.
조선 후기 경상좌수영 설치와 부산
조선 후기 경상좌수영 설치와 부산입니다. 울산 개운포에서 옮겨온 경상좌수영은 인조 13년(1635)에 사천(絲川, (현재의 수영천)의 홍수로 부득이하게 감만 이포(현재 남구 감만동)로 옮겼습니다. 하지만 감만 이포가 왜관과 가깝다는 이유로 효종 3년(1652)에 다시 동래 남촌으로 옮겨진 뒤, 고종 32년(1895) 군제 개혁으로 수영이 폐지될 때까지 243년 동안 존속했습니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 정부는 부산을 해상 방어의 요충지로 인식하였습니다. 이러한 인식 하에 경상좌수영 관할 하에는 두모포, 개운포, 포이포, 감포, 축산포, 칠포영 등 경상좌수영의 거의 전 병력이 부산에 집결되어 있었으며 부산은 조선 최대의 수군기지로 변모하였습니다. 위에 사진은 1872년 지방지도에 나타난 경상좌수영성입니다. 현재의 수영동에 위치했던 경상좌수영성의 모습인데요. 군영을 둘러싼 성곽의 모습이 보이고 선창에 정박한 전선의 모습도 잘 묘사되어 있습니다. 경상좌수영성이 있던 곳은 현재 수영 사적공원으로 바뀌었는데 과거 경상좌수영성의 흔적은 일부만 남아 있습니다. 남문과 하마비에서 찾을 볼 수 있는데 남문처럼 무지개처럼 생긴 아치를 가진 문을 홍예문이라고 합니다. 밑에 있는 것이 하마비이고 위에 있는 것이 아치로 되어있는 홍예문, 고로 남문이라 되어 있습니다. 앞서 우리는 여러 군사 시설들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군사시설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 군영과 군영들이 서로 빠르게 정보를 주고받아야 하겠지요? 이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 역과 참, 그리고 봉수대입니다.